AWS에 가입을 마친 후 콘솔 홈에 들어 가면 제일 중요한 것이 리전을 확인하는 것이다.

이렇게 오른쪽 상단에 보면 "서울" 이라고 표기되어 있는지 되어 있지 않다면 꼭 서울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!

안그러면 과금을 모든 리전에서 물 수 있음!!!!!

 

상단 검색창에 EC2를 검색하면 클라우드의 가상 서버가 뜬다.

이 곳으로 클릭 해서 들어가면 인스턴스를 시작할 수 있다.

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하여 들어가면,

 

이름을 설정해주고 나는 우분투를 사용할 것이기때문에 ubuntu를 선택해 준다.

그리고 인스턴스는 저렴하게 또는 무료로 사용가능하게 해주는 프리티어를 사용 할 것이다.

aws ec2는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기 때문에 t2.micro는 시간당 0.0144달러를 내는 것으로 되어있다.

* 그래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꼭 꺼둬야 과금을 피할 수 있다!

 

그 다음은 키페어다.

ssh 로그인을 하려면 키페어가 필수인데, 우리는 현재 만들어 놓은 것이 없으니 새 키 페어를 생성해준다.

키 페어 생성을 누르면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. (다운로드된 파일로 나중에 키페어를 사용하니 꼭 지우지말고 저장해둬라!)

네트워크 설정은 고대로 놔두고 진행할 것이다.

나중에 웹서비스를 한다면 아래에 HTTP/HTTPS 트래픽을 허용하는 것을 선택해주면된다.

볼륨은 기본 8기가로 놔두면됨!

인스턴스 시작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생성된다.

 

그러면 인스턴스 상태가 실행 중/ 상태검사가 초기화로 되어 있는데

한 1~2분 정도 지나면

요렇게 모든 검사가 통과된 것을 볼 수 있따!

 

 

인스턴스를 연결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지만

우선 제일 기본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

오른쪽 상단에 있는 연결버튼을 누르는 것이다.

 

이 창에서 오른쪽 하단 연결을 누르면

짜잔 ls -al 을 치면 모든 작업을 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~!

'개발일기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ws 로드밸런서_healthy 하게 만들기  (1) 2023.06.15
aws ubuntu_git clone으로 배포하기  (0) 2023.06.14
AWS 로드밸런싱 (http/https) 적용  (1) 2023.06.13
ubuntu 접속 오류  (0) 2023.06.09
대상그룹 unused  (1) 2023.06.01

+ Recent posts